걸으면 건강하다···한양도성 힐링 성곽길따라 역사탐방 나들이
한양도성은 조선왕조의 수도인 한성부의 경계 이자 도성을 방어하기 위해 쌓은 수도 성곽이다. 1994년 한양으로 수도를 옮긴 후, 1396년 두 차례에 걸쳐 전국적으로 인력을 동원하여 성을 쌓았다. 이후 15세기 세종(연간) 18세기 숙종(연간) 19세기 순조(연간)에 걸쳐 여러 차례 대규모로 수리 및 보수공사가 이뤄졌다. 특히 세종 연간에는 토성을 석성으로 고쳐 쌓으면서 18.6km의 전구간이 석성으로 로 완성되었다. 한양도성은 조선왕조 전 시기에 걸쳐 지속적으로 성벽을 고쳐서 쌓았기 때문에 다양한 축조 방식과 성돌의 형태를 살펴볼 수 있다. 남산 자락에 한양도성은 1925년 조선 신궁이 세워지면서 상당 부분 허물어 졌는데, 2013년에서 14년 발굴조사를 통해 1~4m 깊이에 땅속에 묻혀 있던 기단석 부터 1~5단의 성벽이 드러났다. 조사 결과 원래 한양 도성의 높이는 6m 추정되고 있다. 이 구간에서 발굴된 성돌은 그 높이와 크기 모양이 매우 불규칙하고 다양하게 남아 있어, 한양도성의 조선왕조 전 시기에 걸쳐 계속해서 고치거나 새로 쌓아올린 흔적을 한눈에 볼 수 있다.
한양도성 축성에 사용된 구조물 흔적
한양도성 축성에 사용된 구조물 흔적 성벽을 쌓을 때, 임시로 나무 기둥을 박았던 구멍의 흔적이다. 지름은 15 ~ 40cm 정도이며 깊이는 최대 55cm 이다. 이 구멍들은 2~3개씩 짝을 이루며 성 벽과 나란히 발견되는 것이 특징이다. 일부 구멍에서는 나무 기둥에 밑둥도 남아 있었다. 남산 한양도성유적지에서는 총 137개의 기둥 구멍이 발견되었는데, 구멍 흔적 보호를 위해 모두 보존 처리하였다. 일부는 관람객들이 볼 수 있도록 노출하고, 나머지는 모래를 채워 다시 땅속에 묻었다
등록일 : 2021-08-27조회 : 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