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의 발자취에서 가치를 발굴해, 미래를 가꾸는 국립농업박물관
HISTORY OF THE NATIONAL AGRICULTURAL MUSEUM OF KOREA
농업의 발자취에서 가치를 발굴해, 미래를 가꾸는 국립농업박물관
조선시대 농업발전 중심지에 들어선 근대 농업기관
2014년까지 농촌진흥청으로 운영되다 국립농업박물관으로
지난 2019년 12월 4일, 수원시 권선구 서둔동 250번지 구 농촌진흥청 앞에서는 2022년 개관 예정인 국립농업박물관의 착공식이 열렸습니다. 국내 최초의 농업박물관으로 대한민국 농업과 농촌의 발전 과정, 미래 농업의 전망 등 농업 관련 전시 및 체험이 열리는 문화공간이 조성될 예정입니다.
박물관 부지로 선정된 곳은 지난 2014년까지 농촌진흥청이 있었다. 수원에 소재한 유일한 중앙정부 기관이었던 농촌진흥청은 52년간의 수원 시대를 마감하고 2014년 전북 전주로 이전했다.
1906년 일제 통감부는 당시 행정구역상 수원군 일형면 서둔리였던 현재 부지에 권업모범장(勸業模範場)이라 명명한 농업기관을 설치했다. 당시 일본은 농업기술의 시험, 조사 및 지도를 위해 서둔리에 권업 모범장을 세웠는데, 이를 단순히 농촌진흥청의 시발점이라고 볼 수는 없다. 곧 박물관으로 변모할 옛 농촌진흥청의 역사는 조선 후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옛 농촌진흥청 부지 바로 앞에 있는 호수는 서호(西湖)로 수원화성 축조 당시 가뭄이 들어 농사에 어려움이 있자 정조대왕의 지시로 1799년 축조한 인공저수지다. 당시의 이름은 축만제(祝萬堤)로 ‘천년만년 만석의 생산을 축원한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이보다 앞선 1795년에는 현재 일왕저수지로 불리는 만석거(萬石渠)를 만들었다. 만석거는 ‘만석의 쌀을 생산하라’는 뜻이 있다. 왕이 직접 지시해 축조한 두 곳의 관개시설만 보더라도 조선시대에 수원이 농업발전의 요람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등록일 : 2023-12-26 17:34:16조회 : 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