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자동화책’, ‘언어발달 지원’ 등 장애유형에 따른 임신·출산·양육 실질적 지원 절실
“부모가 청각장애가 있는 경우 아이들의 언어발달을 세심하게 지원할 필요가 있어요, 청각장애인 가정에는 관련 서비스를 더욱 확대해 주셨으면 해요.”(B 씨, 중증 청각장애, 여성)
정부 관계자에게 쏟아진 중증장애인 부모들의 요구 사항이다.
보건복지부는 16일, 체감도 높은 정책 수립을 위해 장애인부모 대상 간담회를 개최해 장애인의 임신·출산·양육 과정의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이 자리에는 유혜미 대통령실 저출생대응수석과 복지부 은성호 인구·사회서비스정책실장 등을 비롯한 유관기관 관계자들과 장애인 부모 7명(시각 2명, 청각 3명, 지체 2명)이 참석했다. 장애인부모들은 장애인으로서 임신‧출산‧양육 과정에서 경험했던 어려움과 정부 정책 개선 필요성에 대해 생생한 의견을 전달했다.
대통령실 유혜미 저출생대응수석은 “장애인 당사자들이 아이를 낳아 키우는 과정에서 비장애인에 비해 더 다양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데, 그동안의 저출생 대책은 장애와 비장애의 특성과 차이를 고려하지 못 한 아쉬움이 있었다”고 말했는데, 이는 통계로도 알 수 있다.
2023년 장애인실태조사에 따르면, 장애인 당사자의 입장에서 필요한 서비스 상위 7가지, 즉 ①가사지원 및 활동지원 서비스(24.1%), ②자녀 양육 지원(18.4%), ③직업·취업훈련지원(16.3%), ④임신·출산 정보 제공(6.0%), ⑤성폭력 예방·보호(5.8%), ⑥임·출산전문병원(5.0%), ⑦출산비 지원(4.7%) 중 네 가지가 임신·출산·양육과 관련된 것이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정부 관계자들은 장애인 부모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간담회를 통해 제기된 의견을 검토해 “장애유형별로 섬세하게 개선해 체감도 높은 정책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한편, 2023년 장애인실태조사에 따르면 전체 장애인 중 83%가 결혼의 경험이 있고, 결혼 경험이 있는 장애인 중 80.3%가 결혼 당시에는 장애가 없었다고 응답했다. 또한 결혼 장애인의 95.6%는 자녀가 있으며, 이들의 자녀는 대부분(96.4%) 장애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성년 자녀를 기르며 가장 어려운 점으로는 자녀 양육·교육 비용 부담(27.4%)이며, 그 뒤를 양육 시간 부족(6.4%)과 주위의 편견·시선(5.2%)이 이었다.
등록일 : 2024-10-25조회 : 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