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어통역서비스 가장 필요한 영역으로 “의료기관” 꼽아
‘한국수어 활용 조사’는 수어 동영상으로 설문 내용을 제작하고 수어통역사와 농인 조사원이 조사를 수행했다. 이번 조사는 한국수어 사용 실태, 한국수어에 대한 인식, 농문화 인식 정도, 농 정체성 측정 등 크게 4가지 분야로 나눠 이뤄졌다.
조사 대상자인 만 20세 이상의 장애 정도가 심한 청각장애인 중 30.1%가 수어를 주된 의사소통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어를 처음 접한 시기는 만 7~12세가 41.3%로 가장 높았고, 수어를 주로 가르쳐 준 사람은 농인 친구가 32.4%로 가장 높았다.
수어를 사용하는 청각장애인이 수어통역 서비스가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영역은 의료기관이 83.0%로 가장 높았으며, 수어를 사용하는 청각장애인의 92.5%는 병원에서 가장 원하는 의사소통 지원으로 수어가 가능한 직원 배치를 꼽았다.
교육과 관련해 수어를 사용하는 청각장애인 65.6%가 학교에서 주로 사용하는 의사소통 방법으로 수어를 꼽았으며, 학교에서 의사소통하길 원하는 의사소통 방법 역시 수어가 84.6%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교육 현장에서 가장 바라는 것도 수어로 수업이 가능한 농인 교사 배치가 82.5%로 가장 높았다.
농인이 사용하기에 가장 적절한 언어를 묻는 질문에는 수어를 사용하는 청각장애인 90.8%가 한국수어라고 응답했으며, 한글(문자언어) 3.5%, 한국어(음성언어) 0.5% 등으로 나타났다. 한국수어를 보존·발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는 수어 교원 양성 및 수어 교육 활성화가 56.0%로 가장 높았다.
농문화와 농 정체성에 대해서는 5점 척도(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로 인식 정도를 측정했다.
농문화 인식 정도와 관련해서는 ‘농학교의 교육은 수어와 농문화 습득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에 대해서는 ‘매우 그렇다’와 ‘보통이다’가 각각 30.3%로 나타났다.
농 정체성 측정과 관련해서는 ‘농인은 수어를 사용해야 한다’라는 질문에 ‘매우 그렇다’가 33.2%로 가장 높았고, ‘한국수어와 한국어는 동등한 가치를 지닌 다른 언어이다’라는 질문에는 ‘그렇다’가 33.2%로 가장 높았으며, ‘매우 그렇다’도 30.2%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 대한 심층 분석은 올해 추가로 진행될 예정이며 그 결과는 이후 한국수어 정책을 수립하고 사업을 추진하는 데에 활용된다.
등록일 : 2024-06-12조회 : 210